#9 "현대 자동차 중고차 시장 진출 선언!",업계는 반발?!
#9 "현대 자동차 중고차 시장 진출 선언!", 업계는 반발?!
중고차 거래할 때, 허위 매물이나 가짜 이력 등으로
피해를 보는 사례는 오늘내일 일이 아니죠...
그렇다보니 자동차를 잘 모르는 저 같은 경우는
중고차 매입이 굉장히 부담스러울수 밖에 없죠 ㅠㅠ
(호갱 왔는가~)
이러한 중고차 매매 시장에, 현대자동차가 진출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현대는 책임 관리할 대기업이 필요하다는 건데,
중고차 업계는 생존에 위협을 받는다며 강력 반발하고
불매운동까지 고려하고 있다는군요...
"소비자는 본인의 차가 얼마나 팔리는지,
또 구매하는 중고차에 대한 품질에 대한 궁금증이 생길 수밖에 없다"
"이런 성격의 시장에서 부적합한 거래 관행이나 품질 수준이 낮은 문제로
제대로 검증되지 못한다면 모든 소비자의 고통일 수밖에 없다"
"중고차 시장에서 제품을 구매한 경험을 가진 이들의 70~80%는
거래 관행이나 품질이나 가격산정에 문제가 있다고 보고 있다"
"소비자 보호 측면에서 완성차가 반드시 해야 하는 사업"
중고차 매매업은 지난 2013년 *생계형 적합 업종으로
지정되어 대기업의 진출이 제한돼 왔는데요,
(*영세 상인이나 사업자들의 업종·품목을 지정해 대기업 진출을 막는 제도)
작년 초 지정 기한이 만료되면서 업체들은
다시 생계형 적합업종 지정을 신청했지만,
동반성장위원회는 이에 대해 지난해 11월 부적합 의견을 내면서
현대자동차의 중고차 시장 진출의 가능성이 생기게 되었고
이수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중고차 사업 진출 대한 질문에
"소비자 보호 측면에서 완성차가 반드시 사업을 해야 한다"
완성차 업체의 중고차 시장 참여하게 된다면 시장 투명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면서
여론은 현대에 힘을 실어주고 있습니다.
국내 중고차 시장 규모는 연간 최대 230만 대, 약 27조 원 규모 정도
현재는 중소벤처기업부의 결정만 남아 있는 상황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산업 경쟁력 측면에서는 현대차에서 얘기하는 오픈 플랫폼으로 가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
"중고차 판매를 통해 이익을 얻겠다고 생각한다면 상생은 가능하지 않고,
산업적 경쟁력을 위한 것이라야 상생이 가능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러한 의견으로 현대. 기아차에 추가 상생 방안을 마련하라고 주문했지만
곽태훈 한국 자동차 매매사업조합 연합회장은
"저희는 차를 매집할 수가 없습니다.
현대. 기아가 들어오게 되면 신차를 팔면서 중고차를 매집을 해버리기 때문에"
대기업 진출은 소상공인 위주의 시장 생태계를 무너뜨리고
대규모 실업을 일으킬 것이라면서,
대기업들의 시장 진출로 중고차 가격이 더 올라가는 역효과도 생길 것이라고 주장하며
기존 중고차 업계는 상생은 불가하다는 입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