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 독감 예방 접종 후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을 알아보자.

 

날씨가 부쩍 선선해진걸 보니 가을이 왔네요:)

올해 가을은 코로나 19 때문인지 반가움보다 두려움이ㅜㅜ

 

낮아진 기온과 일교차 인해 독감과 코로나 19가 동시에 유행하는

‘트윈데믹(twindemic

상황이 올 수도 있고  독감과 코로나 19는감염경로와 증상이 비슷해 방역관리에 혼선을 주기 때문에

올해는 독감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합니다.

일각에선 마스크 착용과 손 씻기, 거리두기의 생활화로

독감 유행 규모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기도 하지만,

만일을 대비해 독감 예방접종은 꼭 받는 게 좋을 거 같네요.

 

 

독감백신은 접종 후 항체가 생기기까지 2주가 걸리기 때문에

독감 시즌이 시작하기 전인 10~12월 사이에 맞는 것이 좋고,

한번 맞으면 면역 효과는 약 6개월 동안 지속된다고 하니

 10월 말을 넘기지고  예방접종을 하는 것이 좋은데요. 

 

하지만

 

독감 예방 주사도 여느 백신이나 약품과 마찬가지로

잠재적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고 합니다.

 


1. 주사 부위 통증, 부기


주사를 맞은 후 팔이 뻐근하거나 붉어지고 부어오르는 증상은

흔하게 나타나는 부작용 중 하나입니다.

이는 면역 체계가 백신에 반응하고 항체를 생성하고 있다는 긍정적 신호로,

모든 사람에게 나타나지는 않고 2~3일 정도면 통증은 없어진다고 합니다.

 

 

2. 미열, 메스꺼움, 두통, 피로

두통이나 미열을 동반할 수 있으며, 속이 메슥거리는 구역질을

느낄 수도 있다고 하는데 심하지 않으면 괜찮다고 합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는 접종 후 나타나는 메스꺼움, 두통 또는 피로감과

같은 증상을 신체가 독감 백신에 적응하기 위한 반응 중 하나라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3. 근육통

 

근육통이 생기기도 하는데, 주사 맞은 다음 날 자고

일어나면 전날 운동을 심하게 한 것처럼 찌뿌둥하다.

거동이 불편할 정도가 아니라면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합니다.

 

4. 알레르기 반응


독감 백신, 항생제 같은 구성 요소에 대한

호흡 곤란, 쌕쌕 거림, 눈이나 입술 주변의 부기, 두드러기, 고열 및 빠른 심장 박동 등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사람들이 있다고 합니다.

전문가들은 알레르기 증상이 있더라도 독감 예방 주사로 인해

생명에 위협을 받는 경우는 극히 드물며, 예방 접종에 대한

아나필락시스 반응도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독감 예방 접종 후 위와 같은 부작용은 보통 하루나 이틀 이내 저절로 사라지지만,

컨디션이 급격히 저하된다면 의료진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근육통이나 두통, 독감과 같은 증상에는

이부프로펜 계열의 진통제를 복용하는 것이 도움이 되며,

주사 부위가 아프다면 냉찜질이 효과적입니다.

그리고

 

예방 접종 후에는귀가해서도 3시간 정도는 편안하게 쉬어야 하고,

접종 후 하루 이틀은 음주와 무리한 운동은 자제하는 것이 좋고 

 

예방 접종을 하게 되면 반창고를 붙여 주시는데

반창고로 인한 2차적 반응을 막고 접종 부위 이상 반응을 확인할 수 있도록

30분에서 1시간 이내 제거하시는 것이 좋고

 

세균 감염이 일어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주사를 맞은 부위에 비눗물이 들어가지 않게, 

접종 당일에는 목욕이나 사우나를 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반응형

WRITTEN BY
딸바홀릭
you'll never walk alone

,